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MBTI 이론을 대하는 자세
    의미있는기록 2023. 2. 3. 13:33

     

    https://girl-studying.tistory.com/

    MBTI 이론은 인간의 심리 또는 행동을 아주 큰 범주에서 이해하는 데 참고하기 좋은 자료이다. 최근 MBTI 이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어느새 일상 대화에서 빠지지 않는 주제가 되었다. 서로 다른 부분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그런 문화는 좋은 변화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MBTI 이론을 즐기는 사람들 중 일부는 대뜸 "MBTI가 뭐예요?"라는 질문으로 시작해서 모든 사람을 그 이론에 맞추어 판단하려는 시선도 있는 듯하다. 
     
    필자가 MBTI 이론 대해 크게 관심을 가지지 않는 이유는 꽤 명확하다. 사람에 대해 편견을 가지고 싶지 않아서다. 단지 몇 가지 프레임에 통과시켜 사람을 판단하고 싶지 않아서다. 만약 같은 유형의 사람을 백 명 이상 모아 놓고 일정 기간 합숙시킨 후 '당신들은 모두 같은 유형입니다.'라고 말한다면 그 사실을 고스란히 믿을 수 있을까 의문이 든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의 있는 모습 그대로 존중받고 싶어 한다. 어떤 프레임을 거쳐 판단되고 싶은 사람은 없다. 10분을 대화하든 30분을 대화하든 마주 보고 대화하는 사람에게 온전히 집중하는 것만으로도 그 사람에 대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옷차림, 표정, 행동, 어휘 등 이런 것에 조금만 관심을 가지고 질문을 하면 그 질문은 더 많은 이야기를 끌어낼 수 있다. 그리고 그렇게 나온 그 사람의 이야기는 곧 그 사람의 정보다. 
     
    “MBTI가 뭐예요?”라고 대뜸 질문하는 것보다는 질문을 조금 바꾸면 분명 훨씬 유쾌한 대화가 될 것이다. "혹시 MBTI 이론 좋아하세요?” 또는 “혹시 MBTI 이론에 관심 있어요?”라고 먼저 물어보는 것이다. 이 질문을 거치면 이야기를 계속 진행할지 아니면 대화의 주제를 바꾸는 게 좋을지 판단할 수 있다. 상대가 이 주제에 대해 별로 관심이 없다고 해서 실망할 필요는 없다. 나중에 관심 있는 사람을 찾으면 자연스레 공감대는 형성될 것이고 그때 신나게 그 대화를 즐기면 된다.
     


    📌 MBTI는 과학적 근거가 없다!

    장동선 뇌과학자 말에 의하면 MBTI는 학문적으로 근거가 없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미를 넘어선 절대적인 신뢰가 문제라고 지적한 바 있다. 실제로 최근에는 몇몇 기업들이 특정 유형은 지원 불가라는 지원 공고를 내세우기도 했다고 전했다. [ 출처 - YouTube / 장동선의 궁금한 뇌 ]

     

    '의미있는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노 조절에 대한 오해  (2) 2023.04.14
    빠른 독서가 중요한 게 아니다  (0) 2023.03.15
    지구의 고민을 안고 사는 아이  (0) 2023.01.04
    스스로 칭찬하기  (0) 2022.12.29
    아버지의 메시지  (0) 2022.12.21

    댓글

Designed by Tistory.